맨위로가기

HD 643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6434는 에콰도르에 할당된 외계 행성계로, 넨케(Nenque)라는 이름을 가진 항성과 아이케(Eyeke)라는 이름을 가진 외계 행성 HD 6434 b를 포함한다. HD 6434 b는 목성 질량의 절반 정도이며, 항성에 매우 가까이 위치하여 22일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다. 2019년 국제 천문 연맹(IAU)의 프로젝트를 통해 넨케와 아이케라는 이름이 부여되었으며, 이 명칭은 에콰도르의 와오라니족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황자리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봉황자리 - HD 142
    볼란스자리에 있는 G형 주계열성 HD 142는 외계 행성 3개와 동반성 1개를 거느리고 있으며, 2001년 외계 행성 HD 142 b가 처음 발견된 후 추가 관측으로 HD 142 c와 HD 142 d가 발견되었고, 1894년에는 이중성임이 밝혀졌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HD 6434
기본 정보
명칭HD 6434 / 넨케
관측 정보
기원J2000.0
별자리봉황자리
특징
분광형G2/G3V
변광성 여부알려지지 않음
위치 및 거리
연주 시차23.5794
연주 시차 오차0.0417
절대 등급4.69
물리적 특징
출처Bonfanti2015
식별 정보
기타 명칭CD=–40°239
GJ=9037
HD=6434
HIP=5054
SAO=192911
GCRV=51158
LFT=102
LHS=1188
LPM=57
LTT=610
2MASS=J01044015-3929173
SIMBADHD+6434
ARICNS02485

2. 발견 및 연구

2000년, HD 6434 b가 이 별 주위의 근접 궤도에서 행성으로 발견되었다. 동료 심사를 거친 과학 논문은 4년 후에 출판되었다.

3. 행성계

2000년 라 실라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HD 6434 b 행성이 이 별 주위의 근접 궤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발견에 관한 과학 논문은 4년 후에 출판되었다.

b / 아이크
최소 질량> 0.44 MJ
공전 주기22.0170 일
궤도 장반경0.148 AU
궤도이심률0.146


3. 1. 물리적 특성

HD 6434 b는 HD 6434를 도는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절반 정도이다. 항성에서 매우 가까운 곳(수성 궤도보다 2.5배나 더 가깝다)을 돌고 있기 때문에 1 공전 주기는 22일에 불과하다. 고전적인 ‘뜨거운 목성’인 페가수스자리 51 b와는 달리 이 행성의 궤도이심률은 큰 편이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 여러 과학자들은 이 행성의 궤도경사각이 179.9도(거의 관찰자 시각에서 볼 때 직각에 가깝다)라고 제기했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 행성의 질량은 무려 목성의 196배가 되기 때문에 행성이 아닌 적색 왜성 수준으로 된다. 그러나 해당 관측 자료의 타당성은 검증된 것이 아니며 통계적으로도 해당 천체가 이처럼 큰 질량을 지니고 있을 확률은 희박하다. 그러나 궤도경사각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행성의 실제 질량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항성으로까지 추측하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 천체는 행성급의 질량을 지니고 있을 확률이 크다.

b / 아이크
최소 질량>0.44 ± 0.01
공전 주기22.0170 ± 0.0008
궤도 장반경0.148 ± 0.002
궤도이심률0.146 ± 0.025


4. 명칭

2019년,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HD 6434는 에콰도르에 할당된 외계 행성계가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이벤트 중 하나였다. 에콰도르 국내에서의 선정, 국제 천문 연맹(IAU)에의 제안을 거쳐 외계 행성 및 그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었다.[1]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공표하여 HD 6434는 '''넨케'''(Nenque), HD 6434 b는 '''아이케'''(Eyeke)로 명명했다.[2] 이 명칭들은 모두 에콰도르 아마존 지역에 거주하는 Huaorani people|와오라니족영어이 사용하는 Waorani language|와오라니어영어에서 유래했다. 넨케는 "태양", 아이케는 "가까이"를 의미하며, 아이케는 HD 6434 b가 HD 6434에 가까운 궤도를 공전한다는 점에서 제안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2020-01-0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20-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